반응형

중화권 정보/중국사회 5

[중국사이트] 인구가 감소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경제 발전에 어떤 영향이 있습니까?

중국은 인구대국이다. 중국 경제 발전에서 인구가 많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구가 많다는 건 곧 노동력이 풍부하다는 것을 뜻하고, 노동집약산업이 발전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동시에 선진국들이 중국에 와서 투자하고 공장을 건설하고, 생산 을 발전시키는데 일조하게 되고 그로 인해 중국 경제성장에 큰 도움을 얻는다. 하지만 만약 인구가 감소한다면 어떤 영향이 초래될까? 또 경제 발전에는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까? 1. 인구감소로 인해 맞닥뜨리는 직접적인 문제는 노동력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중국은 몇십 년 동안 많은 인구, 풍부한 노동력, 값싼 노동력에 의존해 발전해왔다. 하지만 인구가 감소 하면 노동력 부족 현상이 발생한다. 충분한 노동력이 없으면 기업들이 잇달아 생산을 줄이게 된다...

[중국 네티즌 반응] 미국 대통령 바이든: 미중 양국은 "대항"이 아니라 "치열한 경쟁"을 하게될 것이다.

미국 대통령 바이든: 미중 양국은 "대항"이 아니라 "치열한 경쟁"을 하게 될 것이다. 2월 7일 바이든은 미국 CBS와의 인터뷰에서 미중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왜 아직까지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통화하지 않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바이든은 "아직 적절한 대화의 시기를 잡지 못했다. 대화를 안 하려고 하는 게 아니다."라고 답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예전에 "시 주석과 장시간 면담했다"며 "중국과 대화할 내용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항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중 양국이 필요한 건 대항이 아니라 치열한 경쟁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정책을 이어가지 않을 것이며 국제규범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让**** 바이..

대만 가수 주흥철(Eric Chou, 周兴哲)과 대표곡 6곡들

안녕하세요! 최근 제가 덕질하고 있는 대만 가수가 있습니다. 바로 이분인데요. 대만의 발라드 왕자라고 불리는 주흥철(Eric Chou, 周兴哲)입니다. 2014년 라는 곡으로 데뷔해서 데뷔와 동시에 엄청난 인기를 얻었습니다. 참고로 는 계속해서 인기를 얻어 글을 쓰고 있는 현재는 유튜브 1.7억 뷰를 달성한 메가 히트곡이 되었습니다. 1. www.youtube.com/watch?v=Ew4VvF0DPMc 2. www.youtube.com/watch?v=wSBXfzgqHtE 는 2016년 발표되었습니다. 오랜 시간이 지난 뒤 옛 연인의 안부를 물어보는 내용의 곡입니다. 현재 유튜브 1.5억 뷰를 달성했습니다. 3. www.youtube.com/watch?v=gdGdO6KjF1I 그리고 2017년에 가 발표되..

미국은 3억3000만명인데 소비 여력은 중국보다 높다. 미국의 돈은 다 어디에 쓰이는 걸까?

알다시피 중국은 전 세계 인구 1위, 14억 명에 달하지만 미국의 인구는 3억3000만 명에 불과하다. 그런데 미국의 인구는 우리의 4분의 1도 안 되지만 미국인의 소비력은 엄청나다. 2019년 현재 중국 사회의 소비 총액은 41조 원인데 비해 미국은 43조 원으로 중국보다 2조 원이나 많다. 미국 국민의 소비가 GDP에 기여하는 비중은 70%에 이르는 반면 중국은 GDP 대비 소비금액이 53%에 불과하다. 미국은 여전히 세계 1위의 소비대국이지만 중국은 2위를 할 수밖에 없다. 3억3000만 명에 불과한 미국인이 중국을 능가하는 소비능력을 갖고 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첫째, 미국인의 음식 낭비 정도는 중국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미국이 매년 낭비하는 식량만 6000만t이 넘고, 이 음..

중국 90년대생들의 어두운 현실

올해는 2021년이다. 90后(지우링허우, '90년대생'을 일컫는 말)들은 22~31세 사이에 있다. 그들은 대학을 다니고 있거나 공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거나 회사에 있는 평범한 직원일 수도 있고, 창업의 어려운 길을 걷고 있기도 하다. 많은 사람들은 90后가 가장 행복한 세대라고 말한다. 그들은 스스로 집을 사고 차를 살 필요가 없다.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어도 부모가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풍족한 물질적 조건을 갖춘 90后는 훌륭한 교육을 받아왔고 가장 행복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어느 시기의 사람들에게나 행운과 비극의 일면이 있다. 향후 20년에는 90后가 가장 비참한 세대가 될 수 있다. 전염병 발생상황의 영향으로 각 대학교가 귀교 여부를 계속 지연시켰고, 그로 인해 올해 많..

반응형